반응형
회의록 작성, 매번 수작업으로 힘드셨나요?
회의가 끝나자마자 쏟아지는 요약 정리 요청. 업무가 밀릴수록 회의 내용 정리는 점점 뒷전으로 밀리기 쉽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ChatGPT를 활용하면 회의록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회의 내용을 빠르게 정리하는 ChatGPT 기반 회의 요약 루틴을 소개합니다.
1. 회의 녹음 or 채팅 기록 확보가 첫 단계
회의 요약 자동화의 핵심은 텍스트화된 회의 기록입니다. 화상 회의라면 Zoom, Google Meet 등의 자동 녹음/자막 기능을 활용하고, 오프라인 회의라면 음성 녹음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AI 음성 인식 툴을 함께 써야 합니다.
추천 툴
- Zoom 녹음 + 자막
- Otter.ai (영어 회의용)
- 클로바노트, 네이버 워크스 (한국어 지원)
2. 회의 내용을 ChatGPT에 넣기 전, ‘프롬프트’가 핵심
다음 단계는 어떻게 요약하길 원하는지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입니다. 아래는 추천 프롬프트 예시입니다.
“다음 회의 내용을 항목별 요약으로 정리해줘. 주요 논의 주제, 결정 사항, 담당자 및 기한 순으로 부탁해.”
이처럼 구조와 톤을 지정해주는 프롬프트를 쓰면, ChatGPT는 일관된 회의록을 만들어냅니다.
반응형
3. 반복 가능한 워크플로우로 자동화하기
반복 업무일수록 자동화 가치가 커집니다. 아래는 회의 요약 루틴을 만드는 기본 구조입니다.
- 회의 녹음 또는 채팅 저장
- 음성 인식 or 자막 변환
- ChatGPT에 맞춤 프롬프트 입력
- 결과 회의록 저장 및 공유
Notion, Google Docs, Slack과 연동하면 회의 종료 후 자동 회의록 공유까지 가능합니다.
4. ChatGPT의 요약 능력,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
GPT는 문맥 요약에는 탁월하지만, 중요도 판단은 명확히 지시해줘야 합니다. 단순 요약이 아닌 의사결정 포인트를 뽑아야 한다면 다음과 같은 조건 추가가 좋습니다.
“결정된 사항과 그 이유를 명확하게 표시해줘. 결정되지 않은 안건은 따로 정리해줘.”
결론: 회의록, ‘사람의 정리 습관’을 GPT에게 넘기는 방식
GPT를 회의록 정리 도구로 쓸 때는 단순 입력보다 ‘나 대신 정리하는 비서’처럼 시키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잘 설계된 프롬프트와 반복 가능한 루틴이 있다면, 회의 정리도 자동화의 시대에 들어섭니다.
반응형
'활용법&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T와 Zapier 연동법 – 클릭 없이 콘텐츠 자동화하기 (1) | 2025.05.11 |
---|---|
GPT로 블로그 댓글 자동 작성하기 – 방문자 대응 시간 줄이는 방법 (3) | 2025.05.10 |
GPT로 블로그 콘텐츠 뼈대 만들기 – 구조부터 문장 초안까지 (3) | 2025.05.08 |
업무 회의 요약, GPT로 자동화하는 루틴 만들기 (1) | 2025.05.07 |
GPT로 인터뷰 대본 만드는 법 – 질문/답변 자동 생성 가이드 (0) | 2025.05.06 |